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노후를 대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듯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래의 방법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 일듯 합니다.

국민연금
퇴직금
개인연금


하지만 이것으로 노후자금을 만드는것은 많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평소에 크게 영향 받지 않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없이 적립할 수 있고 원금을 불려나갈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월 배당 상품에 원금를 적립할 경우 배당금이 월마다 나온것을 재투자한 경우 복리효과도 높일 수 있고 원금의 년평균 상승률도 높일 수 있는 상품이 있다면 총 투자자산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그래서 제가 추천하고 싶은 월배당 ETF는 세개입니다.
- SCHD, DIVO는 꾸준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네요.
- JEPI는 현금배당에서 꾸준히 높은 배당을 보여줍니다.



자 이제 가설을 만들어 보고 시뮬레이션을 해보겠습니다.

가설

30살부터 55살까지 월급의 8%, 5%, 3%를 ETF에 투자했을 하면 얼마의 원금이 생기고 월배당은 얼마나 받지? 배당수익과 주가 상승률 반영해서 시뮬레이션을 해보자.


다음과 같은 가정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합니다.
1. 초기 월급: 300만 원
2. 월급 상승률: 연 3%
3. 투자 비율: 월급의 8%, 5%, 3%
4. 환율: 1 USD = 1,400 KRW
5. 배당소득세: 15% 적용 후 재투자
6. ETF 세전 배당률:
- JEPI: 연 8.5% → 월 약 0.708% → 세후 약 0.602%
- DIVO: 연 5% → 월 약 0.416% → 세후 약 0.354%
- SCHD: 연 3.6% → 월 약 0.3% → 세후 약 0.255%
7. 연평균 주가 상승률:
- JEPI: 약 4.61%
- DIVO: 약 10%
- SCHD: 약 13.3%

3%씩 증가한다면 25년 뒤에는 월급이 628만원이 되네요.

투자 비율에 따른 성과 비교

1. 월급의 8%적립


2.월급의 5%적립


3. 월급의 3%적립


결과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SCHD는 주가 성장률이 높아 장기적으로 큰 자산을 형성하며, 월 배당금도 안정적입니다.
- DIVO는 중간 수준의 주가 상승과 배당률을 제공해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JEPI는 배당률이 높아 월 현금 흐름이 더 크지만, 주가 상승률은 낮은 편입니다.
- 월 적립%의 차이는 월로보면 얼마되지 않지만 25년뒤에는 엄청 큰 차이를 보여줍니다.


이 시뮬레이션이면 SCHD에 투자하는것이 좋을거 같네요.

ETF 투자 시, 배당과 성장률의 균형을 맞춘 장기 전략이 중요합니다.

시장의 상황이나 환율, 연평균성장률, 배당률, 세금은 언제던 변할 수 있습니다. 그 상황에 따라 모든 투자지표는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각자의 재정 상황에 맞는 투자 비율을 설정하고 꾸준히 실행한다면,

55살에는 새로운 재무 상황을 맞이할 수 있을 거예요. 노후도 풍부해지겠죠?



가장 큰 문제는 25년동안 꾸준히 매수하고 꾸준히 배당금액을 재투자 할 수 있을까 입니다.

꾸준함이 새로운 노후를 맞이 해 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